중합효소 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유전자 클로닝 방법
: 프라이머와 D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미량의 시료에서 DNA를 증폭시켜 다량의 DNA를 얻을 수 있는 방법
① DNA 변성 (denaturation)--> 94도에서 30초
② dna 결합 (annealing)--> 55도에서 1분
③ dna 신장(extension)--> 72도에서 1분
사이클을 n번 반복시 2의 n승으로 dna가 증폭됨.
--> 유전자 획득,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이나 돌연변이 제조, 유전자의 메틸화 검출, 유전자 패턴 검사, mRNA의 검출 및 정량화 등 다양하게 쓰인다.
초반에는
DNA 중합효소( 클레나우 절편)을 사이클마다 매번 넣어 주었다.
주로 Taq중합효소를 사용한다.
고세균
단점
1. 낮은 정확도, 3->5번 방향으로 핵산 분해 및 교정 기능이 없다.
1,000,000 bp 당 2-~200bp 정도 오류를 일으킨다.
2. 증폭시킬 수 있는 dna 크기 2kb 이하
Tth
|
역전사 효소 기능
rt-pcr에 적합
|
deep vent, PFU
|
각각 내열성이 크고 정확도가 크다.
3->5 말단 분해효소 기능이 있고 중합속도는 느린 편
|
Primer를 잘 고안해야함.
- 적적한 길이와 서열
ex) 사람의 유천체를 표적으로 할 때 17bp 이상이 되어야함.
- pcr 온도 조건
두 프라이머의 Tm 값 중 낮은 것으로 부터 5도 정도 낮은 것이 최적 온도이다.
--> 두 프라이머의 Tm 값 차이가 많이 나면 증폭이 어렵다.
hot start pcr : pcr 시작을 높은 온도에서 시작해 프라이머의 적절 결합 온도까지 내리는 방식 이용
- 금속 이온의 농도와 종류
마그네슘 이온 요구 1~2mM 적합
- dNTP의 농도
뉴클레오타이드 농도도 일반적으로 0.2mM이상이면 적합
- 표적 DNA의 길이
2KB 이상의 유전자를 증폭하려면 교정 기능이 있는 내열성 중합효소가 적절함.
PCR 방법의 제한사항
- 이미 염기서열이 알려진 DNA만 증폭할 수 있다.
PCR로 유용 유전자를 얻는 경우 반드시 유전자 염기서열을 확인해야함.
산물을 클로닝 벡터에 넣어야 할 때
① 제한효소 자리가 있는 프라이머를 이용하는 방법
② ta 클로닝 방법
: 비첨착성 말단에 하나의 3- T가 돌출된 벡터와 PCR 산물을 연결하여 클로닝하는 것
T벡터: EcoRV와 같이 비점착성 말단을 형성하는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뉴클레오타이드 말단기 전달효소를 처리하여 3-T가 돌출되도록 제작
③ 토포아이소머레이즈와 연결된 벡터를 이용하는 법
: 전사, 복제가 일어날 수 있도록 꼬여진 DNA 나선을 푸는 효소
vaccina 토포아이소머레이즈
: 특정 서열을 인식하는 기능과 dna 가닥을 끊고 연결하는 기능을 함께 가짐.
1. 비점착성 말단 pcr 산물의 클로닝
--> pfu와 deep vent에 의해 생성된 산물 클로닝 가능
2. 3 - t 말단 pcr 산물의 클로닝
==> taq나 Tth 등 산물의 클로닝 가능
+ 실시간 PCR : 증폭된 DNA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
--> 정량적으로 조사하는 데 주로 사용
총정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은 총 3단계로 이루어지고, DNA 중합효소는 Taq를 주로 사용한다. pcr 최적화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고려해야할 조건이 많다. 그리고 증폭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산물을 클로닝 시키는 방법에는 ta 클로닝, 제한효소 자리가 있는 프라이머를 이용하기, 토포아이소머레이즈와 연결된 벡터를 이용하기가 있다.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장 혈청 (0) | 2024.06.30 |
---|---|
elisa 와 RIA (0) | 2024.06.30 |
핵산의 성질과 분리 (0) | 2024.06.29 |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세포 선발 방법 (0) | 2024.06.29 |
Mini prep, 페놀/클로로폼 추출법 (0)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