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산의 성질과 분리 :: 꿈꾸는 블로그
반응형

유전공학의 이해 제 3판

C3. 핵산의 성질과 분리

-1. 핵산의 성질

(1)DNA의 변성과 재생

변성: DNA가 단일가닥 상태로 전이하는 것(고온, 높은 pH, 변성제)

↔ 재생(re-naturation): Tm 값보다 낮은 20~25℃ 정도에 놓아두면 다시 이중가닥 DNA로 바뀜.

 

+변성제= 요소, 구아니딘, 포름알데하이드, 포마마이드=강한 수소결합을 하는 화합물질

 

A260:DNA 용액을 26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

이중가닥: 1

단일가닥: 1.4

수소결합, 인산다이에스터 결합이 완전히 분해된 염기들: 1.6

→흡광 증가 효과: dna가 변성될 경우 흡광도가 증가하는 현상

 

Tm: 절반의 변성이 일어났을 때의 온도=변성온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pH: NAOH용액 사용

→높은 pH 또한 수소 결합에 참여하는 많은 작용기의 전하량을 변화시키게 되어 염기쌍들간의 수소결합을 방해한다.

ex) 서던블롯팅

 

②이온 세기와 크기

③염기의 조성: GC함량이 증가할수록 Tm값 커짐.

(2)혼성화(hybridization)

:서로 다른 유래의 다른 단일가닥 핵산이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이중가닥을 이루는 것

hybrid duplex: DNA-DNA, DNA-RNA, RNA-RNA 사이에서 형성가능

 

(3) DNA와 RNA의 안정성

DNA는 안정하고, RNA는 불안정하다.

 

RNA의 경우, 2번 탄소에 붙어 있는 OH기가 물리적인 근접성으로 인해 알칼리 조건에서 RNA의 당-인산 골격 축을 끊고 새로운 인산기와 결합하려고 당-인산 골격을 공격하여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다.

→RNA용액이 –70℃의 저온에서 보관되어야 함.

 

RNase:

증기멸균에 의해서도 파괴되지 않는 안정된 효소이다.

피부,땀, 침등에 존재한다.

→실험 시 RNase의 활동을 철처하게 차단해야함.

-2. 핵산의 분리 및 정제

(1)플라스미드 DNA 분리

①세포용해액을 얻고,

②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해냄.

③순수한 플라스미드 DNA용액을 획득

 

알칼리 용해
 
끓이기 방법
고온과 세제로 박테리아 세포 용해시킴
원심분리로 박테리아 dna, 막 등 복합체를 침전시킴
증류수에 녹여 순수한 플라스미드 dna를 얻음.

마지막 단계 에탄올 침전법 대신에..

실리카 흡착법: 친매성 기질 이용한 방법/ chaotropic 염이 있을 때 실리카 수지가 핵산과 서로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

이온교환수지 칼럼 방법

(2) 세포의 유전체 DNA 분리온

① 세포 용해

② 단백질과 RNA의 제거

③ DNA 추출

④ 분리된 DNA의 양과 순도 측정

박테리아
①동결 해동법이나 라이소자임에 의한 방법으로 세포를 용해시킨다.
② SDS,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K, RNase를 처리해 단백질 및 RNA를 제거한다.
③ 페놀 클로로포름 추출법,(요즘은 페놀 추출법 대신 실리카 흡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에탄올 침전법을 활용해 DNA를 추출해낸다.

동물세포

식물세포
①식물 분쇄: 액체 질소 이용하여 막자사발 이용

②세포 용해:세포 용액에 CTAB(양이온 세제, 음전하를 띈 DNA와 0.5M 이하의 염조건에서 불용성의 복합체를 형성)

③용해된 세포에서 dna추출과 농축: 원심분리 시 복합체가 침전되고, 고농도의 염용액에 용해시켜 실리카 흡착법, 에탄올 침전법으로 순수하게 분리
 

(3) 파지 DNA의 분리

① 배양 단계

② 파지 입자의 분리 단계

-DEAE 셀룰로오스같은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염화세슘 밀도기울기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

-글리세롤 계단 기울기를 이용한 방법

-PEG와 함께 초고속 원심분리

 

③ 파지 껍질 제거 및 DNA 추출

-SDS,단백질 가수분해효소 K로 껍질 제거 후 페놀 클로로포름 추출법을 사용

-포마이드-에

탄올 침전법을 혼용해 사용하기도 함.

 

(4) RNA 분리

-세포나 조직의 분쇄, 단백질의 분해와 제거, RNA의 농축,양,질

-세포 내부 RNase, RNase 오염으로 인한 RNA 분해

내부: 추출 용액에 RNase 억제제=ATA, vanadyl-ribonucleoside 복합체, RNasin, guandium chloride, guanidium thio - chyanate

외부: RNase 제거를 위해 DEPC가 쓰임.

전체 rna 분리 방법 3가지

hot phenol
안토시아닌이나 페놀 화합물과 탄수화물 등이함된 많이 포함된 식물조직으로 전체 rna 분리시, 핫 페놀로 추출 후 높은 농도의 염화리튬 침전 방법으로 rna를 순수 분리
트리졸=페놀과 guandine isothiocyanate가 하나의 액상
rna를 분리하고, 높은 염 농도에서 아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한 침전법으로 rna를 회수한다.
guanidine thiocyanate
산성 조건하에 4M의 guanidine thiocyanate를 포함하는 용액속에서 수용액상에 위치며, dna와 단백질은 페놀 클로로폼의 유기 용매상에 위치한다는 사실 기반으로 개발

(5) mRNA의 분리

올리고 dT가 결합된 수지를 채운 다음, 진핵세포의 mRNA를 흘려보내 mRNA(3′말단에 폴리 A꼬리가짐.)가 dT를 결합시킨다. 염분 농도를 조절하여 rRNA,tRNA를 씻어내고 Tris-EDTA용액으로 mRNA를 용출시킨다.

 

(6) 핵산의 침전(precipitaion)과 보관

*알코올 침전법: 에탄올,이소프로판올 이용

에탄올
핵산으로부터 물 분자를 제거→음전하를 띈 인산기를 노출시킴→반대 전하를 가진 이온이 결합하여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 사이 반발력을 감소시켜 침전을 일으킴.
1가 양이온의 존재 하에 농도 70% 알코올에서 수행됨.
이소프로판올
낮은 농도에서도 dna 침전 가능
낮은 휘발성으로 dna시료에서 완전히 제거 어렵다.
→70%에탄올로 dna 침전물을 여러번 씻겨줌.

염(salt)의 종류

아세트산암모늄 10 2.0~2.5M

염화리튬 5~8 0.5~0.8M

염화 나트륨 3 0.2M

아세트산나트륨 pH 5.2 0.3M농도0.2M

 

*보관

DNA
DNA 분해가 최소가 되는 조건으로 저장해야 함.
단기적:4~6℃ 보관
장기적: 탈아마이드화 방지
최소 pH 8.5이상, 최소 0.15M NaCI과 10mM의 EDTA를 포함하는 용액에서.
RNA
RNase가 없는 증류수나 TE완충액에 녹인 후 분리한 당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80℃ 액체 질소에 보관
소량으로 나누어 보관

(7) 핵산의 농도 측정(spectroscopy:분광광도계)

핵산 수용액의 농도 측정: pH7, 260nm에서 자외선을 흡수하려는 성질이 최댓값이다.

→퓨린, 피리미딘 염기가 가지는 방향족 구조로 인해서...

핵산의 순도 측정: OD A260/A280의 비율 계산: 단백질 오염 여부

→단백질에 포함된 타이로신,트립토판과 같은 아미노산이 280nm에서 최대 흡수도 를보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티로신/트립토판

OD(Optical Density) A260/A230의 비율: 230nm에서 페놀,염,단백질 등이 높은 흡광도를 보임.

 

순수하게 분리된 핵산

OD A260/A280:1.8~2.0

OD A260/A230: 1.8이상

핵산의 성질과 분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  (0) 2024.07.01
혈장 혈청  (0) 2024.06.30
elisa 와 RIA  (0) 2024.06.30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세포 선발 방법  (0) 2024.06.29
Mini prep, 페놀/클로로폼 추출법  (0) 2024.06.29

+ Recent posts